최근 5대 시중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은행)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가 연 2.6~2.73%로, 한국은행 기준금리 2.75% 보다 낮은 수준이 되었다고 합니다. 정기예금 금리는 기준금리와 연동 되므로 기준금리가 낮아지면 향후는 금리가 더 낮아지게 됩니다. 정기예금하는 사람들에게 물가 상승율을 감안하면 거의 0%의 수익율이 있는 셈입니다. 다음에서 정기예금 금리 현황 및 대체 투자방안을 알아보겠습니다.
정기예금 금리 현황 (2025년 3~4월 기준)
1. 5대 시중은행 금리 (2025년 4월 기준)
- 은행 정기적금 금리는 대체로 2.3~2.5% 수준
- 주요 은행 1년 만기 정기예금 금리는 기본 이율 기준으로 대략 연 2.6%에서 2.95% 사이에 형성되어 있습니다. 우대 조건을 모두 충족할 경우 일부 상품은 연 3.0% 내외까지 올라가나, 3%를 넘는 상품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2. 농협, 축협 및 저축은행 예금 금리
- 12개월 만기: 대체로 연 3.3~3.4% 수준
- 새마을금고는 농협 및 축협보다 약간 높은 3.3~3.4% 금리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음
- 저축은행(예: 더케이저축은행): 12개월 만기 기준 약 연 2.80%
2025년 4월 고금리 정기예금 TOP5 (연 금리 기준)
순위 은행 상품명 금리(연 %) 가입 기간 주요 특징
1 | 토스뱅크 | 초특급 예금 | 기본 4.6% + 우대 1.2% = 5.8% | 12개월 | 중도 해지 시에도 우대금리 유지, 모바일 가입 |
2 | 카카오뱅크 | 프리미엄 예금 | 5.5% | 6개월 | 신규 고객 한정, 카카오페이 결제 시 추가 금리 |
3 | 케이뱅크 | 스마트 예금 | 5.2%~5.5% | 12~24개월 | 복리 옵션 가능, 자동 재예치 기능 |
4 | SC제일은행 | VIP 예금 | 5.0% | 12개월 | 1억 이상 예치 시, 세금 우대 및 재테크 컨설팅 제공 |
5 | IBK기업은행 | 청년도약 예금 | 4.9% | 36개월 | 만 19~34세 대상, 정부 지원금 추가 혜택 |
정기예금 금리가 높은 곳은 주로 인터넷 전문은행과 일부 시중은행, 신협, 새마을금고 등입니다. 특히 높은 금리를 원한다면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 인터넷은행의 비대면 전용 예금 상품을 우선 고려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정기예금 금리와 물가 상승률을 비교
물가 상승률은 소비자물가지수(CPI) 2025년 3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 수입물가는 2025년 3월에 전년 동월 대비 3.4% 상승. 대체로 2025년 3월 기준으로 정기예금 금리는 시중은행 기준 물가 상승률과 비슷하거나 약간 높은 수준입니다.
타 대체투자 자산과 수익률 비교
투자자산 예상 수익률(연 %) 특징 및 위험도
정기예금 | 2.75~4.05 | 원금 보장, 안정적, 수익률 낮음 |
국채/회사채 | 약 3~5 | 원금 보장 수준, 신용위험 존재 가능 |
금투자(금 ETF) | 5~7 (변동성 큼) | 인플레이션 헤지, 가격 변동성 큼 |
주식/주식형 ETF | 7~10 이상 (변동성 큼) | 고수익 가능, 원금 손실 위험 높음 |
부동산 투자 신탁 (REITs) | 4~6 | 배당 수익과 자본 이득, 중간 위험도 |
적립식/혼합형 펀드 | 3~7 | 위험도 다양, 시장 상황에 영향 큼 |
결론
정기예금은 원금 보장과 안정성을 중시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며, 수익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반면, 금, 채권, 부동산 투자 신탁, 주식 등은 변동성과 위험을 감수하는 대신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투자 목적과 위험 선호도에 따라 자산을 분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정기예금의 경우에는 금리가 높은 인터넷 전문은행의 비대면 전용 예금 상품을 우선 고려 하고, 향후 금리 인하 및 물가 상승 감안 위험을 감수하더라도 위의 자산군에 분산 투자하는 등 대체투자를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현명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