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한국 국제 신용등급 및 타국과 비교

by 늦깨거북이 2025. 4. 15.

국제 신용등급 평가사는 주로 미국과 영국에 본사를 둔 세 곳의 글로벌 기관이 대표적이며, 이들은 국가 및 기업의 신용도를 평가해 투자자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주요 국제 신용등급 평가사

  • 무디스(Moody’s Investors Service)
    미국 기반의 평가사로, 21단계 등급 체계를 사용하며, 최고 등급은 Aaa입니다.
  • 스탠더드앤드푸어스(Standard & Poor’s, S&P)
    미국 평가사로 22단계 등급 체계를 운영하며, 최고 등급은 AAA입니다.
  • 피치(Fitch Ratings)
    미국과 영국에 본사를 둔 평가사로, S&P와 무디스와 함께 ‘빅3’로 불립니다.

주요 평가 항목

국제 신용평가사들은 다음과 같은 항목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신용등급을 부여합니다.

  • 재무 건전성
    부채 수준, 자본 구조, 현금 흐름, 수익성 등 재무 지표를 평가합니다.
  • 경제 환경 및 거시경제 변수
    국가의 경제 성장률, 물가 안정성, 외환 보유고, 무역수지 등 거시경제 상황을 고려합니다.
  • 정치적 안정성 및 정책 신뢰도
    정부의 정치적 안정성, 정책 일관성, 법치주의 수준, 부패 정도 등을 평가합니다.
  • 시장 접근성 및 유동성
    채권 시장의 규모와 유동성, 금융시장 인프라, 투자자 보호 수준 등을 분석합니다.
  • 부도 위험 및 상환 능력
    채무 불이행 가능성과 상환 의지, 과거 부도 이력 등을 검토합니다.

신용등급 체계 예시 (S&P 기준)

등급의미
AAA 최상위급, 최고의 신용상태
AA+, AA, AA- 안정성 상위급, 위험성 적음
A+, A, A- 안정성 보통, 경기침체 시 위험 증가
BBB+, BBB, BBB- 투자적격 등급 중 가장 낮은 등급
BB+, BB, BB- 투자 부적격 등급, 원리금 상환 가능성 낮음
B+, B, B- 투자 부적격, 원리금 상환 불확실
CCC+ 이하 부도 위험 매우 높음
D 부도 상태
 

이처럼 국제 신용평가사는 다양한 재무·경제·정치적 요소를 종합해 등급을 산정하며, 투자자들이 국가나 기업의 신용위험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한국 신용등급 수준

  • 탠다드앤드푸어스(S&P) 등급: AA (안정적 전망). 이 등급은 2016년 8월 ‘AA-’에서 ‘AA’로 상향된 이후 9년째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 평가 배경: 한국의 경제 펀더멘털과 사회 시스템 안정성이 견고하며, 정치적 불안과 대외 변수에도 불구하고 경제 성장률 회복과 1인당 GDP 증가 전망이 긍정적으로 평가됨.
  • 경제 성장률 전망: 2025년 약 1.2%에서 2026년 2.0%로 회복 예상, 2028년 1인당 GDP 4만 1,000달러 돌파 전망.

타국과 비교

  • ‘AA’ 등급은 글로벌 신용평가사 기준에서 상위권에 속하는 투자적격 등급으로, 미국(AAA), 독일(AAA), 일본(A+), 중국(A+) 등과 비교할 때 미국·독일보다는 낮지만 일본·중국보다는 높은 수준입니다.
  • 피치(Fitch) 평가에서도 한국은 ‘AA-’ 등급에 안정적 전망을 유지하며, 주요 선진국과 신흥국 사이에서 견고한 신용도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요약

국가S&P 신용등급등급 전망비고
한국 AA 안정적 2016년 이후 9년째 유지
미국 AAA 안정적 최상위 등급
독일 AAA 안정적 최상위 등급
일본 A+ 안정적 한국보다 낮은 등급
중국 A+ 안정적 한국보다 낮은 등급
 

한국은 정치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경제 체력과 정책 대응 능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대외 신인도 측면에서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