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지식

일본 야스쿠니신사 왜 한국 등 반대에도 참배 강행할까?

늦깨거북이 2025. 5. 7. 00:27

일본은 한국 등이 정치인들의 공식적인 야스쿠니신사 참배를 반대하는데도 왜 참배 강행하는지 궁금합니다. 다음에서 이유와 전문가들의  해결 방안을 알아봅니다.

야스쿠니신사 참배
야스쿠니신사 참배

야스쿠니 신사 정의

  • 야스쿠니 신사는 1869년 메이지 천황이 도쿄에 세운 신사로, 일본 국가를 위해 목숨을 바친 약 246만 명의 군인과 군속을 위령하는 곳입니다. 원래 이름은 도쿄 쇼콘샤였으며, 1879년에 '야스쿠니'라는 이름으로 개칭되었습니다. '야스쿠니'는 "나라를 안정케 한다"는 뜻으로 중국 고전에서 따온 이름입니다.
  • 이 신사에는 일본 내전부터 제2차 세계대전까지 전사한 이들의 이름과 정보가 봉안되어 있으며,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은 A급 전범 14명도 포함되어 있어 주변국과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강제 동원된 한국인과 대만인 전몰자도 함께 봉안되어 논란이 큽니다.
  • 일본 내에서 야스쿠니 신사 참배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있지만, 많은 일본 정치인들은 국가를 위해 희생한 이들을 기리는 정당한 행위로 보고 참배를 계속합니다. 이는 일본의 전통 신앙인 신도에서 죽은 이를 신으로 모시는 문화적 배경과, 전몰자에 대한 경의와 국가 단합의 의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부 정치인들은 국내 보수 세력의 지지 확보나 정치적 생존 전략으로 참배를 선택하기도 합니다.

야스쿠니 신사 참배 일본 국내 정치 영향

  • 정치적 지지 결집 수단: 야스쿠니 참배는 보수 우익 세력과 강경한 안보정책을 선호하는 유권자층의 지지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베 신조 전 총리 등은 참배를 통해 ‘강한 일본’을 원하는 국민과 정치엘리트들에게 단호한 리더십과 결의를 과시하며 정치적 기반을 강화했습니다.
  • 정당성 확보와 정치 생존: 참배는 정치인들이 보수층 내에서 자신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당내 우경화 흐름 속에서 정치적 입지를 다지는 전략으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고이즈미 전 총리도 참배를 통해 극우 세력의 지지를 얻어 개혁 추진에 힘을 실었습니다.
  • 내셔널리즘과 우경화 촉진: 야스쿠니 참배는 일본 내에서 역사인식 문제와 내셔널리즘 강화와 밀접히 연관되어, 정치적 우경화 경향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이는 일본 내각 각료들의 참배가 대외적으로 민감한 외교 문제를 야기하는 배경이기도 합니다.
  • 외교 갈등과 국내 정치 긴장: 참배가 주변국과의 외교 갈등을 심화시키면서도, 일본 내에서는 ‘외부 압력에 굴하지 않는 강경한 일본’을 표방하는 정치적 메시지로 작용해 일부 국민과 정치인들 사이에서 지지를 받습니다.

요약하면, 야스쿠니 신사 참배는 일본 국내에서 보수층 결집과 정치적 정당성 확보, 내셔널리즘 강화에 기여하는 한편, 외교적 긴장 속에서도 강경한 리더십 이미지를 구축하는 정치적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야스쿠니 신사 관련 국제적 갈등 해결 방안

  • 과거사에 대한 일본의 전면적 성찰이 근본적 해결의 출발점입니다. 일본이 자신의 침략 전쟁과 식민 지배에 대해 진지하게 반성하고 사과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 일본 정부와 야스쿠니 신사 간 협력 문제 해결이 필요합니다. 현재 일본 정부는 정교분리 원칙을 내세워 신사 문제에 직접 개입하지 않으나, 피해자 명부에서 한국인 등 강제동원 피해자 이름 삭제와 같은 조치를 일본 정부가 주도해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 독일의 노이에바헤 전쟁희생자 추도소 사례가 참고될 수 있습니다. 독일은 나치 희생자와 전쟁 피해자를 모두 추모하는 공공 추도시설을 운영하며, 외국 정상들도 공식 참배하는 등 국제적 화해와 공존의 모델을 보여줍니다. 일본도 야스쿠니 신사와 별도로 전쟁 피해자 전체를 포괄하는 공공 추모시설을 만들어 왜곡된 역사 인식을 바로잡고 피해자 명예를 회복할 필요가 있습니다.
  • 일본 정치인의 신중한 참배 태도도 중요합니다. 나카소네 전 총리처럼 주변국 국민감정을 고려해 공식 참배를 자제하는 정치적 결단이 갈등 완화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교육과 역사 인식 개선을 통해 일본 내외에서 전쟁과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확산시키는 것도 갈등 해소에 도움이 됩니다.

이처럼 일본 정부의 역사 인식 개선과 피해자 명부 정리, 국제적 화해 모델 도입, 정치적 신중함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야 야스쿠니 신사 관련 국제 갈등을 완화하고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인으로서는 묵인할 수도 없고 계속되는 항의도 미래를 위해 좋지 않고 참 답답한 문제이나 어찌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결국 해결을 위해서는 결자해지라고 일본 정부의 결심과 행동이 필요합니다. 일본 정부와 국민들이 좋은 해법을 마련하여 이 갈등이 해결되는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