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연예

우리나라 OTT 시장 현황

늦깨거북이 2025. 5. 16. 05:07

이제 드라마와 영화를 시청하기 위해 OTT를 구독하는 것이 일상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OTT 시장의 현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OTT 플랫폼 현황 및 순위 (2025년 기준)

  1. 넷플릭스 (Netflix)
    •   월간 활성 사용자 약 1,345만 명으로 1위.
    •   글로벌 최대 OTT로, 한국 내에서도 압도적 점유율과 영향력 보유.
    •   인기 콘텐츠: 오징어 게임, 솔로지옥, 중증외상센터, 기묘한 이야기 등.
    •   사용자 만족도는 콘텐츠 다양성에서 높으나, 사용성 만족도는 티빙, 유튜브 프리미엄에 다소 뒤짐.
  2. 쿠팡플레이 (Coupang Play)
    •   월간 활성 사용자 약 680만 명 내외로 2위 또는 3위 경쟁 중.
    •   스포츠 중계 강점으로 성장세 지속.
    •   인기 콘텐츠: 뉴토피아 등.
    •   2024년 조사에서 국내 OTT 중 최초로 사용자 800만 명 돌파 기록.
  3. 티빙 (Tving)
    •   월간 활성 사용자 약 650~730만 명 수준으로 쿠팡플레이와 근접한 2~3위 경쟁.
    •   국내 오리지널 콘텐츠 강화 전략 중.
    •   2025 KBO 리그 중계 등 스포츠 콘텐츠도 보유.
    •   사용자 만족도는 콘텐츠 및 요금·할인 부문에서 높은 평가.
  4. 웨이브 (Wavve)
    •   월간 활성 사용자 약 400만 명대.
    •   SBS, KBS 등 지상파 콘텐츠 보유.
    •   사용자 수는 다소 감소 추세.
  5. 디즈니 플러스 (Disney+)
    •   월간 활성 사용자 약 270만 명 수준.
    •   글로벌 인기 콘텐츠 다수 보유하나 국내 점유율은 상대적으로 낮음.

구독료 (2025년 기준, 한국)


플랫폼 요금제 종류가격 (월 기준) 특징
넷플릭스 베이식 (광고 포함) 약 5,500원 광고 포함, 기본 화질
  스탠다드 약 13,500원 HD 지원, 2인 동시 시청 가능
  프리미엄 약 17,000원 4K 지원, 4인 동시 시청 가능
티빙 다양한 요금제 존재 약 7,900원~15,000원 오리지널, 스포츠 콘텐츠 포함
쿠팡플레이 단일 요금제 약 9,900원 스포츠 중계 강점
웨이브 다양한 요금제 존재 약 7,900원~13,200원 지상파 콘텐츠 포함
디즈니 플러스 단일 요금제 약 9,900원 디즈니·마블·스타워즈 콘텐츠

(※ 구체적 요금은 변동 가능하며, 프로모션 및 패키지에 따라 다름)

추천 OTT 및 콘텐츠

  • 넷플릭스: 한국 및 글로벌 오리지널 콘텐츠가 풍부하며, 4K 고화질 지원. 대표작으로는 오징어 게임, 기묘한 이야기, 돈 룩 업, 수리남 등이 있음.
  • 티빙: 국내 오리지널 콘텐츠와 스포츠 중계 강점. KBO 리그 중계도 인기 요소.
  • 쿠팡플레이: 스포츠 중계(특히 프로야구)와 오리지널 시리즈 뉴토피아 추천.
  • 웨이브: 지상파 방송 콘텐츠 중심, 한국 드라마 및 예능 선호 시 적합.
  • 디즈니 플러스: 디즈니, 마블, 스타워즈 등 글로벌 인기 프랜차이즈 콘텐츠 선호자에게 추천.

요약

  • 한국 OTT 시장은 넷플릭스가 압도적 1위이며, 쿠팡플레이와 티빙이 치열한 2~3위 경쟁 중입니다.
  • 구독료는 넷플릭스가 5,500원부터 17,000원까지 다양하며, 티빙과 쿠팡플레이는 7,000~10,000원대가 일반적입니다.
  • 콘텐츠 다양성과 스포츠 중계, 국내 오리지널 콘텐츠 강화가 각 플랫폼 경쟁력의 핵심입니다.
  • 이용자 만족도는 넷플릭스가 구독률 1위지만, 티빙과 유튜브 프리미엄이 사용성 및 요금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받습니다.

이상으로 2025년 우리나라 OTT 시장 현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토종 OTT 업체들이 좀 더 힘을 내기 바랍니다.